산불 피해 이재민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위한 지원 방안
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(LH)는 울산, 경북,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위해 긴급지원주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. 이 지원책은 이재민들이 신속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, 최초 2년 동안 무상 거주가 가능하다.

무상 거주와 임대료 지원
이재민들은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하여 즉시 주거공간을 제공받게 된다. 특히, 최초 2년 동안의 월 임대료는 LH와 해당 지자체가 각각 50%씩 부담하여, 이재민들은 임대료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다. 현재 확보된 주택 수는 경북 610호, 경남 107호, 울산 141호 등이며, 입주를 희망하는 이재민들은 해당 지자체에 신청하여 대상자로 확인된 후 입주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.
민간 주택 이주 지원
정부는 이재민들이 희망하는 민간 소유 주택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전세임대주택 특례도 제공할 계획이다. 이 특례는 특별재난지역 이재민을 대상으로 하며, 전세 지원 한도는 7000만 원에서 수도권 수준인 1억 3000만 원까지 적용된다. 이를 통해 이재민들은 보다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주택 복구 지원 방안
주택 피해를 입은 이재민이 향후 주택을 복구하는 경우에도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융자 지원받을 수 있다. 이 자금은 장기간 저리인 1.5%로 제공되며, 특별재난 지역의 융자금액은 면적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대 1억 2400만 원까지 지원된다. 이러한 지원책은 이재민들이 자신의 주택을 빠르게 복구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.
현장 지원과 추가 주택 확보 방안
LH는 과거 강원도 산불 피해 등에서의 이재민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피해 지역 내 현장 지원반을 설치하고,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. 또한, 지자체 및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공급 가능한 주택을 추가 확보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. 이를 통해 피해 지역의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, 이재민들이 보다 나은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.

이번 긴급지원주택 제공 및 다양한 지원 방안은 산불 피해 이재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. 정부와 LH, 지자체가 협력하여 이재민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, 향후 추가적인 지원 방안도 지속적으로 모색할 예정이다.
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